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eart of Iron IV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출시 초기 때 게임 파일에서 'report_event_korean_war_march'란 이름의 이벤트 사진을 발견해 화제가 되었다. 개발진이 직접 게임의 업데이트를 시연하는 공식 방송에서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 한국을 다룰 것이다."라며, 관련 DLC의 계획을 묻는 시청자의 질문에 응답했다.[* 24년 3월 기존 아시아 DLC인 워킹 더 타이거가 본편에 통합되고, 데이터마이닝으로 아시아 리워크의 떡밥을 발견하여 한국 등장을 기대하는 유저들이 많다. 제국의 무덤 DLC에서 [[벨기에령 콩고(Hearts of Iron IV)|벨기에령 콩고]]가 고유 중점을 받으면서 일본 리워크와 함께 조선총독부가 컨텐츠를 받을 가능성도 아주 없다고 할 수도 없게 되었다.][* By Blood Alone DLC의 추가와 업데이트로 인하여 협정에서 분할통치가 가능한데 미국이 남한을 해방, 소련이 북한을 해방하면 된다. 그런데 이론상으로만 그렇고 실제로는 유저가 소련을 잡지 않으면 소련이 일본을 침공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보기 힘든건 마찬가지다. 중점이 불완전해 아직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이 구현되지 않았다.] 한국으로 플레이하는 방법은 [[한국(Hearts of Iron IV)|한국]] 문서 참조. * 심의 때문에 나치 독일 국기가 [[하켄크로이츠]]가 아닌 [[철십자 훈장|철십자기]]로 되어 있고, 이념 구분을 위해 국기가 고증과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파시즘 일본 제국 국기가 [[일장기]]가 아닌 [[욱일기]]로 되어 있고,[* 원래 일본 제국의 국기도 일장기이다. 다만 당시에는 성문법으로 정해진 게 아닌 관습법이긴 했었다.] 비동맹주의 일본 막부/일본 제국과 민주주의 일본국은 제대로 일장기다. [[비시 프랑스]]도 기존 삼색기를 국기로 썼지만 게임에서는 자유 프랑스와 구분을 위해 도끼가 그려진 대통령기([[페탱]]기)를 쓴다.[* 사실 제일 압권은 중국 공산당인데 2018년 3월 1.5 패치 전에는 1936년부터 지도자는 빡빡머리 [[모택동]](천안문 앞에 걸린 늙었을 때 사진)에다가 [[오성홍기]]를 썼다. 1.5 패치 이후에 국기를 1949년 이전에 쓰던 깃발로 다시 바꾸고 장년 모택동으로 교체했다. 그런데 [[옌시산]]은 계속 말년의 모습이다.] 그래서 발매 직후 국기들을 고증에 맞춘 모드가 나왔다.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699302152|#1]]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2070438061|#2]] 독일법에서는 '장난감(Toys)'[* 독일법은 PC 게임을 장난감(toys)으로 분류한다.]에서 [[아돌프 히틀러|히틀러]] 및 [[파울 요제프 괴벨스|괴벨스]], [[하인리히 힘러|힘러]] 같은 나치 전범들의 직접적인 묘사가 금지되어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나치 전범들의 모습이 모두 실루엣 처리되어 있는데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german-version-faq.934568/|#]] 모든 글로벌판 Historical German Portraits라는 실루엣 처리를 해제하는 무료 DLC가 제공된다. 글로벌판은 기본적으로 이 DLC가 적용되지만 독일에서는 이 DLC를 적용할 수 없어서 실루엣 처리를 해제할 수 없다.[* 같은 독일어권인 오스트리아에서도 이 DLC가 제공된다.] 독일판이 궁금해보면 이 DLC를 선택 해제해서 해볼 수 있다. 물론 독일 지역에서도 실루엣을 해제해주는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698731211|모드]]가 나왔다. 게임 자체는 독일판과 글로벌판이 같은 빌드이고 체크섬도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멀티플레이를 하는데는 제약이 없다. * 이념이 바뀌면 각 국가마다 이름이 달라지는데, 파시스트 호주 같이 실존하지 않았던 가상 국가들의 국명을 이상하게 지어 까이기도 했다. 파시스트 호주의 경우 국명이 오리너구리 제국(Empire of the Platypus)이었던 때가 있었고[* 캥거루나 코알라, 하다못해 호주군에게 [[에뮤 전쟁|승리하기라도 한]] 에뮤처럼 유명한 동물이 아니라 오리너구리인 이유는 패독의 로고가 오리너구리 화석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를 본 호주인 플레이어의 항의로 중앙집권주의 오스트레일리아(Centralist Australia)로 변경되었다. 파시스트 뉴질랜드는 [[키위새|키위 제국]](Kiwi Empire)이며, 공산주의 룩셈부르크는 말장난인지 뭔지 [[로자 룩셈부르크]]다. 정작 로자 룩셈부르크는 러시아 태생이라는 게 함정. 그리고 한국을 독립시켜서 파시스트 정권으로 만들면 독립 '조선총독령'이다. 아무래도 개발진 측에서 파시스트 일본이 [[조선총독부]]를 식민지에서 괴뢰국으로 독립시키는 것을 가정한 듯하다. 이념이 바뀌면 당연히 국기도 바뀌는데 한국 같은 경우는 공산당으로 바뀌면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바뀌고 국기는 [[인공기]]로 바뀐다. 파시즘일 때의 국기의 경우 한동안 태극기에서 태극 문양을 빼고 그 자리에 검은 셔츠단 문양이 들어가 있었고, 비동맹주의는 아예 그 자리가 비어있는 괴악한 디자인이었으나, 1.12 패치로 파시즘은 태극팔괘도[* 1.13 패치로 옛날 태극기로 바뀌었다.], 비동맹주의는 [[조선인민공화국]]의 것으로 바뀌었다. * 2017년 11월 1일, 타 HOI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HOI4도 중국에서 금지되었다.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hearts-of-iron-iv-removed-from-steam-in-china.1052971/|#]] 이번에는 판매 금지뿐만 아니라 이전에 구매했던 사람들까지 다 실행불가가 되었다. 이는 역사대로 대만이 일본령으로 나오고 본 게임에서는 중국이 티베트, 만주뿐만 아니라 중국의 군벌들에 의해 중국이 10개의 국가(일본령 대만까지 합치면 11개)로 분열된 상태로 등장하는데, [[하나의 중국]]을 지향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에 위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도 여러 모드에 중국인 개발자가 있거나 비리비리에 있는 모드밈을 보면 아직도 중국에서 플레이하는 사람은 많아보인다. 하지만 2021년 기준으로는 중국인 개발자가 개발한 간체자 모드는 거의 업데이트되지 않고 대만인이 개발한 정체자 모드만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중국인 모더들이 활동하고 있다. * 게임 내 맵을 보면 일부 섬이나 지역의 면적이 심하게 과장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이오 섬]]이나 [[오키나와]]. 특히 이오 섬의 경우 [[제주도]]보다 몇 배는 큰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오 섬은 [[백령도]]의 반도 안되고, [[가덕도]]와 비슷한 면적인데 이는 유저 편의성을 위해 확대해서 그려 넣은 것이다. 전작들에서도 이런 요충지는 확대해서 그려졌다. 역설사의 다른 작품인 CK 시리즈와 EU 시리즈에서도 베네치아를 무지막지하게 크게 표현했다. * 로딩 스크린에 유명인들의 어록을 띄워준다. 이 어록의 리스트는 게임 폴더의 localisation에서 loading_tips에서 확인 가능하다. 근데 스탈린의 "표를 던지는 사람은 아무것도 결정할 수 없다. 표를 세는 사람이 모든 결정을 한다."와 같은 [[가짜 명언]]이 포함되어있다. 또 도중에 "기린은 무정한 생물이다(Giraffes are heartless creatures)."라는 말이 가끔 나오는데 난해한 말이라 뭔가 심오한 뜻을 가진 명언같지만 사실 그냥 밈이다. 진화론에서 흔히 인용되는 기린 그림을 보여주고 무슨 이론인지 묻는 문제에다 그 말을 적어 놓은 것이다.[[https://images-cdn.9gag.com/photo/aG9yMX0_700b.jpg|#]] 문제의 답은 b로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이다. * 2021년 초 기준 가장 선택률이 높은 국가는 독일이고, 그 다음으로 이탈리아-소련-프랑스-터키-영국-미국-일본 순이다. HOI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독일의 인기가 가장 높은데 HOI4 출시 초기에는 독일의 선택률이 약 40%였으나 그나마 20% 이하로 줄은 것이라고 한다.[[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developer-diary/hoi4-dev-diary-new-year-update.1453130/|#1]]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hoi4-devdiary-telemetry.1437962/|#2]] 터키가 7대 열강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선택률이 높은 이유는 2020년 10월에 출시된 DLC인 Battle for the Bosporus에서 터키의 오스만 제국 루트가 추가된 것 때문으로 보인다. * 20세기 초중반 [[중화민국/군벌|중국의 군벌]]이 제대로 묘사된 보기 드문 2차 세계대전 게임이다. 다른 2차 세계대전 게임에서 중국은 대부분 하나의 국가로만 등장하거나 기껏해야 [[중화민국 국민정부|국민당 정부]]와 [[소비에트 지구|공산당 정부]] 2국가만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게임에서는 국민당/공산당 외에도 광서군벌([[계계군벌]]), 운남군벌([[전계군벌]]), 서북삼마([[서북군벌#s-2.2|마가군벌]]), 신강([[서북군벌#s-4|신강군벌]]), 산서군벌([[염계군벌]])[* 참고로 산서군벌은 1939년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미 멸망했기 때문.] 등 5개의 군벌이 등장하고, 이들 군벌들과 별도로 [[만주국]]과 [[티베트]], [[몽강연합자치정부|몽골연합자치정부]]도 별도의 국가로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게임보다 나은 것이지 고증이 정확한 것은 아니며 더 상세한 군벌들을 즐기고 싶으면 [[Eight Years' War of Resistance]] MOD를 설치하면 된다. * 스팀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아도 게임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모드와 저장 내역 모두 불러와진다.][* 다만 런처를 스킵한 채로 바로 게임이 실행된다.] * 난이도 설정이 가능하지만 고난이도일수록 플레이어 국가가 디버프를 받는 식으로 짜여 있기 때문에 보통 유저들은 고난이도를 고르기 보다는 커스텀 게임 설정으로 적국들을 강화하거나 AI 강화 모드를 깔고 플레이하는 편이다. 특히 정치력 획득이 깎이기 때문에 미국처럼 지속적으로 디시전을 눌러야 하는 나라나 프랑스처럼 정치력 디버프가 달려 있는 나라를 고난이도 설정으로 플레이하면 성질만 버리기 쉽다. * 난이도 설정시 나오는 문구들은 전부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것에서 인용해온것이다. 민간인은 '우리도 할 수 있다!'[* We Can Do It! [[https://ko.wikipedia.org/wiki/We_Can_Do_It!|1943년의 미국 선전포스터]]에서 따온것으로 보인다.] 신병은 '나는 당신의 용기, 헌신적인 복무 그리고 전투에서의 기술로 인해 완전한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I have full confidence in your courage, devotion to duty and skill in battle. We will accept nothing less than full Victory! Good luck!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https://www.archives.gov/milestone-documents/general-eisenhowers-order-of-the-day|D-Day 연설.]]] 정규병은 '적이 강해서, 우리 군대를 후퇴시킬지도 모릅니다. 서두른다고 성공할 수 없기에, 우리는 몇번이고 다시 돌아올 것입니다.'[* For the enemy is strong. He may hurl back our forces. Success may not come with rushing speed, but we shall return again and again [[프랭클린 D. 루즈벨트]]의 [[https://www.presidency.ucsb.edu/documents/prayer-d-day|D-Day 기도]]] 숙련병은 '지금부터 30년후 난롯가 곁에서 당신의 무릎에 앉아있는 손자가 "할아버지는 2차 대전 때 뭐 했어요?"라고 물어보면 헛기침이나 하면서 "응, 할애비는 루이지애나에서 삽으로 똥이나 펐단다."라고 대답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Thirty years from now when you're sitting by your fireside with your grandson on your knee and he asks, "What did you do in the great World War Two?" You won't have to cough and say, "Well, your granddaddy shoveled shit in Louisiana." [[조지 S. 패튼]]의 1944년 연설.] 정예병은 '제가 여러분들께 드릴수 있는 것은 피와, 수고와, 눈물, 그리고 땀뿐입니다.'[* I have nothing to offer but blood, toil, tears and sweat. [[윈스턴 처칠]]의 1940년 5월 13일 취임 연설.] * 2024년 4월 초에 며칠간 무료 플레이 이벤트를 진행함과 동시에 게임 배너를 변경했다. 화풍이 바뀌고 기존 4명에 더해 맨 우측에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추가되었다. 이 때 공식 홍보 영상에 '지속적 무료 업데이트'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커뮤에서 잠시 조리돌림 당했다. * 해당 게임을 원작으로 하는 [[보드게임]]이 출시 예정이다. 2026년에 출시 예정이라 한다.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announcing-the-hearts-of-iron-board-game.1720763/|#]] 한국어 지원 여부는 미지수.[* 출시한지 거의 10년이 되었음에도 본작에는 공식 한국어 번역이 없기 때문.]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